자급제폰이란?
자급제폰이란 가계 통신비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2012년 5월에 정부에서 첫 도입되었습니다.
자급제폰은 소비자가 휴대폰 가격 부담을 가지지 않도록 대리점이 아닌 대형마트나 온라인 등에서 구입하는 것을 말합니다.
또한, 자급제폰은 대리점이 아닌 온라인 등에서 기기값을 한 번에 구입하여, 약정 없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.
자급제폰의 장, 단점을 비교해 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현명한 핸드폰 구매해보세요.
자급제폰의 장점
자급제폰의 첫번째 장점은 가계 통신비 절감입니다.
자급제폰의 두번째 장점은 통신사에서 구매할 때 핸드폰에 자동으로 깔리는 통신사 앱이 없습니다.
→ 통신사에서 구매하는 핸드폰은 자동으로 깔려있는 어플이 많으며 삭제도 불가합니다.
자급제폰의 세번째 장점은 약정 및 부가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.
자급제폰의 단점
자급제폰의 첫번째 단점은 장점의 반대되는 얘기가 되며, 대리점에서 구매할 때 발생되는 약정 요금제 할인 적용이 불가합니다.
자급제폰의 두번째 단점은 구매 당시 기기값을 한 번에 지불하는 금액 부담입니다.
자급제폰의 세번째 단점은 유심 교체, 가입, 자료 공유 등 대리점에서 해주는 서비스를 개인이 해야 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.
자급제폰의 결론
자급제폰은 목돈이 있는 가계나 기계치가 아니라면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.
또한, 핸드폰 대리점에서 요구하는 상위 요금제를 의무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니, 낮은 요금제를 선택하여, 월 지출금액을 줄일 수 있습니다.
그러나, 목돈이 없고 기계치라면 자급제폰의 성향과는 맞지 않습니다.
그러니 본인의 상황에 맞는 알뜰한 핸드폰 구매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